물류활동을 구성하는 기본적 기능은
수송, 보관, 하역, 포장의 4개 기능외에
이들을 결합하는 것으로서 정보기능이 있다.
수송은 재화를 공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수송에 의해 생산지와 수요지의 공간적 거리가 극복되고, 재화의 장소적 효용이 창출된다. 또
수송기능 중 한 도시내 또는 지역내 수요자로의 수송은「배송」이라 고 말하고 있다. 예를 들어
메이커가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을 배송쎈타를 경유하여 고객에게 배달하는 경 우 공장과 배송쎈타
간은「수송」이고, 배송쎈타에서 고객까지는 「배송」으로 각각의 활동이 구분된다.
수송이 공간의 극복인 것에 반하여 보관은
시간의 극복이다.
예를 들면 겨울에 생산된 에어컨은 여름까지 보관하지 않으면 수요에 적합한 것이 되지 않는다.
보관에 의해 상품의 시간적 효용이 창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기보관이라는 저장기능보다는
판매정책상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일시보관, 즉 배송을 위한 보관기능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일시보관창고가 유통창고와 배송쎈타이다.
하역이란 수송과 보관의 양끝에서 어떤
재화를 목적에 맞게 취급하는 것으로서 적재, 이동(시설 내에서 의), Picking, 분류
등의 작업을 말한다. 하역작업의 대표적인 방식이 콘테이너화와 팔레트화이다. 또 하역 작업에서
사용하는 기계를 하역기계라 하며, 지게차, 크레인, 콘베이어 등의 각종 기기가 활용된다.
포장에는 판매포장과 수송포장이 있다.
판매포장이란 소비자가 구매하기 쉽고, 소비하기 쉬운 단위로 상 품을 분할하는 것으로서 상품의
내용을 소비자에게 더 잘 보이게 하는 목적도 갖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마케팅의 분야이다.
한편 수송포장은 순수하게 물류의 분야이다. 수송포장의 기능은 수송에 편리한 단위 로 상품의
유니트(Unit)를 분할하여 수송의 효율을 높이고 수송중의 상품을 보호하는 것이다.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고, 창고에 출하를 지시하고, 수송·배송을 수배하는 것 등이
주문처리의 활동이 다. 또 입출고를 조정하고 상품재고를 바람직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재고관리이다.
이처럼 물류의 각 기능은 각각의 기능이 연관관계를 가짐으로써 효율이 발휘된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정보이다. 즉 컴퓨터가 처리하는 정보기능으로 물류의 시스템화 및 효율화가 가능해진다.